임진왜란1 임진왜란 p.8~9국제질서의 제도나 규범은 평상시에는 어느 정도 원칙대로 관철되는 듯하지만, 전쟁과 같이 중대한 시기에는 적나라한 힘의 관계가 대신하기 마련이다. p.18조선은 명 중심의 동아시아 질서에서 모범적인 조공국가로서 그 중요성이 적지 않았다. 그렇지만 더 중요한 것은 전통적으로 한반도에 강한 국가들이 존재해왔다는 사실이다. 이를테면 수와 당이 고구려와 통일신라를 공격했으나 이기지 못했다. 이것은 임진왜란 때 조선에 온 명의 관리들도 자주 언급했던 바다. 더욱 가깝게는 원명 교체기에 고려와 조선이 상당한 세력균형자로서 역할을 담당했다. 이러한 경험으로 볼 때, 임진왜란 초기 조선이 너무 쉽게 패배한 것을 명 측은 이해하기 어려웠고, 일본과 결탁을 의심하는 원인이 되기도 했다. p.21~22사실 조공책봉 .. 2025. 2. 22.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