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가 쓰는 글841 250228_자동차모빌리티_업황의재구성_현대차증권_장문수 이 글은 매수/매도 추천을 위한 글이 아니라 공부용 글입니다. 현대차증권에서 나온 '자동차/모빌리티'에 관한 산업분석 리포트다. 이해관계가 있다는 점을 감안하고 봐야지 라고 생각했는데, 싸다고 오를 주가는 아니다 첫 소제목부터 강렬하다. 소제목 아래에 펀더멘털 대비 기업가치가 낮다고 하고 있긴 하지만, 그래도 쉽지 않다는 걸 첫 소제목으로 한 번에 압축하고 있다. 그 뒤에 업황에 대한 내용은 크게 4가지를 주장하고 있다. 1) (협업) GM 및 도요타, Waymo, 엔비디아, 삼성그룹과의 협업 구체화:2) (SDV/자율주행) 현대차그룹 모빌리티 오픈 플랫폼 Pleos 공개 예정:3) (투자/사업모델) 보스턴 다이내믹스, 배터리 관련 투자 등:4) (주주환원) GM 자사주 매입 강도 상향으로 주가 상승.. 2025. 3. 2. 20250221_IBK투자증권_이승훈_카카오_카카오톡_최강의AI서비스로진화한다 이 글은 매수/매도 추천을 위한 글이 아니라 공부용 글입니다. 제목이 강하길래 살펴봤다. 혹시 뭔가 엄청난 게 있을까?- 카카오톡 개편: 발견 영역 도입- AI 기반 신규 서비스 4종 기대- 목표주가 59,000원으로 하향, 투자의견 매수 유지제목은 마치 '가즈아'라고 외치는 것 같지만, 보고서 안에 내용은 별다를게 없고, 목표주가만 하향시켰다.제목과는 반대로 지금 카카오가 좋지 않다는 걸 말하고 싶은데, 매도 의견을 내기는 어려우니 이렇게 한걸까. 잘 모르겠다. 제목에 낚인 보고서다. 2025. 2. 24. 250224 - 대미 수출 관세 영향도 Update 및 GM-현대차 공급망 협력 관련 (한화투자증권) 이 글은 매수/매도 추천을 위한 글이 아니라 공부용 글입니다. 좋은 뉴스는 아니지만, 그래도 실제 어떻게 돌아가는지 알고 싶어서 리포트를 살펴봤다. 가장 먼저 애널리스트는 경고를 시작으로 리포팅을 시작한다. 대미 수출 품목에 대한 트럼프 대통령의 보편 관세 부과율 25% 언급에 따라 관세 리스크 지속 중. 트럼프 1기 당시 보다 강력한 드라이브 가능성. 국내 완성차업종의 관세 부과 회피 여부에 대해 냉정한 시각 견지 필요 냉정한 시각 견지 필요라고 애둘러 표현했지만 쉽지 않을거 같다는 의미 아닐까? 아직 임기 초인데 이 정도의 불확실성이라면 앞으로 예상하지 못한 일들과 관세가 더 부과될지도 모르겠다.냉정한 시각 견지 필요라고 애둘러 표현했지만, 실제 추정치를 통해 상황이 심각하게 돌아간다고 얘기한다... 2025. 2. 24. 서진시스템 - 주가는 저평가, 사업은 탄탄대로 SK증권 나승두 투자 매수/매도 의견에 대한 글이 아닙니다. 산업/기업 공부용 글입니다. 서진시스템이란 곳에 대해 3가지 이유를 대며 저평가라는 근거를 밝힌다. 1. 매출 1조 클럽 눈 앞, 사상 최고 실적 경신2. 주요 사업부별 고른 성장 예상3. 현재 주가, 확실한 저평가 구간 3번의 이유는 순환논리에 빠질 만한데, 내용을 살펴보니 부정적 루머의 해소 및 자사주 매각으로 가치 회복 정도로 소제목을 적었다면 더 정확했을 것 같다. 1번 1번 실적 경신에 대해서는 확실히 엄청나긴 하다. 보고서에 나온 내용을 보면 지난해 연간 매출액 1조 2,301억원(YoY +58.0%), 영업이익 1,266억원(YoY 158.5%)을 기록하며 사상 최고 실적을 경신했을 것으로 추정된다. 2024년이 연간 매출액 1조원을 넘어선 .. 2025. 2. 20. HD현대건설기계 (DS투자증권) - 종전에 대한 과도한 기대감 https://www.hankyung.com/article/202502145698i 한창 분위기 좋은데…"팔아라" 이례적 보고서에 '발칵'한창 분위기 좋은데…"팔아라" 이례적 보고서에 '발칵', "종전 기대감 과도"...재건株 매도 보고서 나왔다www.hankyung.com 투자 매수/매도 의견에 대한 글이 아닙니다. 산업/기업 공부용 글입니다. 셀 리포트다. 그것도 한국경제 기사 제목처럼 분위기가 나쁜 것도 아닌 호재로 작용할 수 있다는 기대가 있음에도 셀 리포트를 냈다. 3가지를 핵심 논거로 제시한다. 1. 러시아 점령지는 러시아가 가져갈 가능성 높음2. 피해 지역(재건 가능 지역)의 대부분은 러시아 점령지3. 종전에 대한 과도한 기대감 결국 러시아의 승전이지, 우크라이나의 승전이 아닐 것이기 때.. 2025. 2. 19. 25.02.16 CU 편의점 생긴걸 보며 산책하다보니 CU편의점이 생긴걸 봤다. 이전에 이마트24 편의점이 있던 곳이다. 똑같은 자리에 브랜드만 바뀐건데, 그렇다면 점포를 차린 점주는 입지가 아닌 이마트24라는 브랜드 혹은 다른 통제가능한 요소가 폐업의 원인이라고 진단했음을 추론할 수 있다. 가설이 옳은 걸로 인정받을 수 있을까? 알 수 없다. 다만 가설 검증은 오직 한 번만 가능하다. 봉달호님의 에세이를 보고난 뒤 조금 더 다양한 게 보이기 시작했다. 처음엔 몰랐던 세계를 알게 되니 천진난만하게 신기해했지만, 조금 더 관찰하니 시장의 냉엄함에 슬프기도 했다. 매대를 어떻게 구성했는지 살펴볼 겸 1+1 요거트를 사먹었다. 2025. 2. 16. 이전 1 2 3 4 ··· 14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