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11
이러한 히틀러와의 화해는 영원한 회귀란 없다는 데 근거한 세계에 존재하는 고유하고 심각한 변태를 보여준다. 왜냐하면 이런 세계에서는 모든 것이 처음부터 용서되며,
따라서 모든 것이 냉소적으로 허용되기 때문이다.
p.12~13
영원한 회귀가 가장 무거운 짐이라면, 이를 배경으로 거느린 우리 삶은 찬란한 가벼움 속에서 그 자태를 드러낸다.
그러나 묵직함은 진정 끔찍하고, 가벼움은 아름다울까?
가장 무거운 짐이 우리를 짓누르고 허리를 휘게 만들어 땅바닥에 깔아 눕힌다.
그런데 유사 이래 모든 연애 시에서 여자는 남자 육체의 하중을 갈망했다.
따라서 무거운 짐은 동시에 가장 격렬한 생명의 완성에 대한 이미지가 되기도 한다.
짐이 무거우면 무거울수록, 우리 삶이 지상에 가까우면 가까울수록, 우리 삶은 보다
생생하고 진실해진다.
반면에 짐이 완전히 없다면 인간 존재는 공기보다 가벼워지고 어디론가 날아가 버려,
지상의 존재로부터 멀어진 인간은 겨우 반쯤만 현실적이고 그 움직임은 자유롭다 못해
무의미해지고 만다.
그렇다면 무엇을 택할까? 묵직함, 아니면 가벼움?
p.17
사람이 무엇을 희구해야만 하는가를 안다는 것은 절대 불가능하다. 왜냐하면 사람은 한 번밖에 살지 못하고 전생과 현생을 비교할 수도 없으며 현생과 비교하여 후생을 바로잡을수도 없기 때문이다.
p.17
모든 것이 일순간, 난생 처음으로, 준비도 없이 닥친 것이다. 마치 한 번도 리허설을 하지 않고 무대에 오른 배우처럼. 그런데 인생의 첫 번째 리허설이 인생 그 자체라면 인생에는 과연 무슨 의미가 있을까? 그렇기에 삶은 항상 밑그림 같은 것이다. 그런데 '밑그림'이라는 용어도 정확하지 않은 것이, 밑그림은 항상 무엇인가에 대한 초안, 한 작품의 준비 작업인데 비해, 우리 인생이라는 밑그림은 완성작 없는 초안, 무용한 밑그림이다.
토마시는 독일 속담을 되뇌었다. einmal ist keinmal. 한 번은 중요치 않다. 한 번뿐인 것은 전혀 없었던 것과 같다. 한 번만 산다는 것은 전혀 살지 않는다는 것과 마찬가지다.
p.19
전날까지만 해도 프라하의 아파트로 그녀를 초대하면 그녀가 인생 전체를 자기에게 헌납하지 않을까 두려워했던 그였다. 지금 트렁크가 수화물 보관소에 있다는 말을 듣고, 그는 그녀가 자신의 삶을 이 트렁크에 넣어 역에 잠깐 맡겨 두었다가 자기에게 주려는 것은 아닌지 생각했다.
p.21
그 당시 토마시는 은유란 위험한 어떤 것임을 몰랐다. 은유법으로 희롱을 하면 안 된다.
사랑은 단 하나의 은유에서도 생겨날 수 있다.
'문학 > 프랑스소설' 카테고리의 다른 글
나무를 심은 사람 (0) | 2016.03.27 |
---|---|
참을 수 없는 존재의 가벼움(5) (0) | 2015.10.20 |
참을 수 없는 존재의 가벼움(4) (0) | 2015.10.18 |
참을 수 없는 존재의 가벼움(3) (0) | 2015.10.17 |
참을 수 없는 존재의 가벼움(2) (0) | 2015.10.16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