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65~66
그렇다면 어떻게 해야 유럽이 위기를 벗어날 수 있을까? 가장 좋은 방법은 유로화 출범 이전으로 타임슬립하는 것이다. 하지만 이게 불가능하니 현재 상태에서의 가능한 대안은 다음의 3가지를 들 수 있다.
첫 번째는 유로화를 버리고 다시 예전 통화 체제로 돌아가는 것이다. 그리스를 예로 들어본다면, 유로화를 폐기하고 예전 통화(드라크마)를 다시 사용하여 대규모 평가절하를 단행하면 기업의 경쟁력이 일거에 개선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관광객도 예전보다 더 많이 올 것이기에, 경상수지도 흑자로 돌아설 가능성이 높다.
그러나 이 방법은 한 가지 중대한 문제가 존재하는데, 그리스 시중은행이 '뱅크런'을 경험할 가능성이 높다는 것이다.
p.68
남유럽 재정위기를 해결하는 두 번째 방법은 물가와 임금, 그리고 지가를 충분히 떨어뜨려 경쟁력을 개선시키는 것이다. 물론 정책금리의 결정권이 ECB에 있는 만큼 금리인상이 불가능하니 재정 지출 삭감 이외에는 '디플레이션'을 유도할 방법이 없다. 그러나 정부 지출의 상당 부분을 차지하는 사회복지 관련 지출은 이미 40~50년 이전에 맺어진 사회적 협약의 결과이기에, 일거에 사회복지 관련 지출을 삭감할 경우 심각한 정치적 갈등을 초래할 것이다.
나아가 강력한 재정 긴축을 시행하는 과정에서 경제의 잠재성장률이 훼손될 수 있다는 것도 문제를 발생시키는 요인이다.
p.70
경쟁력을 상실한 국가가 선택할 수 있는 마지막 선택은 바로 인플레이션을 유발해 과도한 부채를 걷어내고, 통화(유로화)의 평가절하를 유도하는 것이다.
p.72~73
하버드 대학의 로고프 교수는 1800년 이후 자본주의의 역사를 살펴본 결과, 파산 상태에 처한 국가의 대부분이 20%이상의 강력한 인플레이션을 통해 국가부도의 위기를 모면했다고 지적한 바 있다. 다시말해 '국가 부도냐, 아니면 인플레이션이냐'라는 선택에 직면하는 순간, 대부분의 국가는 서슴없이 인플레이션을 선택한다는 것이다.
p.76
언제든 인플레이션 압력이 높아지는 순간 통화공급 확대 정책의 시행에 브레이크를 걸 가능성은 배제하기 어렵다. 현재로서는 갈등 폭발의 시기가 언제가 될지 알 수 없다. 다만 유럽의 인플레이션율이 다시 2%대로 회복할 때는 독일이 가만히 있지 않을 것이라는 것만은 분명하다.
p.86
환율의 방향성을 예측할 때 제일 먼저 드는 생각은 '환율이 어떤 수준일 때가 가장 적정할까'라는 의문일 것이다. 이런 고민을 해결하는 데 도움되는 것이 바로 '1물1가(一物日價)'의 법칙이다.
p.87
세계 어느 곳이든 '1물1가'의 법칙은 유지된다. 물론 각기 다른 나라에서 거래되는 상품은 운송비가 들기 때문에, 이 부분으로 인한 차이는 발생할 수 있다. 그러나 운송비 이상 수준으로 가격 차이가 발생한다면, 활발한 무역시장에서 오래 지속될 수 없다.
p.87
'1물1가'의 법칙을 이용해 각국 통화의 가치 수준을 측정한 방법이 바로 '빅맥지수(Big Mac Index)'다.
p.91
실질실효환율이란 빅맥 지수처럼 단일 제품만 이용하는게 아니라, 주요 교역 상대국의 환율과 전체 소비자물가 수준을 반영해 환율을 측정하는 것이다.
p.96
1997년 이전에는 달러/원 환율이 고정되어 있었기에 환율이 고평가되고 저평가되느냐에 따라 경상수지가 결정되었다. 그러나 1997년 이후에는 변동환율제도로 바뀌어, 경상수지를 비롯한 여러 지표가 변화할 때마다 환율이 이를 먼저 반영해 움직이는 식으로 아예 시스템이 변화한 것이다. 따라서 원화 가치가 고평가되었는지 저평가되었는지를 따지는 것뿐만 아니라, 경상수지를 비롯한 환율 결정 요인에 대해서도 공부해야 한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