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투자104 월스트리트 퀀트투자의 법칙 - 정확한 기초개념 이해가 우선 어떤 분야를 공부할 때 있어서 중요한 포인트는 분야마다, 가르치는 선생님마다, 그리고 배우는 사람마다 다 다르겠지만, 그래도 분야에 관계없이 공통적으로 강조되는 덕목 중 하나는 기초개념을 숙지하도록 하는 거라고 생각합니다. 기초개념 위에서 다른 어려운 개념들이 넘나들기도 하거니와, 기초개념이 흔들릴 경우 나중에 위기상황에서 더욱 크리티컬한 상황에 몰릴 수 있기 때문입니다. 이 책은 그 지점에서 훌륭한 역할을 해주고 있다고 생각합니다. 솔직히 처음엔 영주닐슨 교수님께서 퀀트 투자 서적을 집필하신다고 하기에 R이나 Python을 이용한 포트폴리오 구성방법 등 실무적인 내용을 다루실거라고 기대했고, 실무보다는 기초개념을 다루시기에 아쉽다는 생각을 했지만, 그동안 다른 책에서 체계적으로 다루지 않았던 개념들을 .. 2019. 6. 15. 채권투자 핵심노하우 [자산시장을 보는 다른 눈을 떠보세요]보통 자산시장하면 흔히 주식시장을 떠올린다. 요새는 좀 잠잠하지만, 작년만 하더라도 길거리를 지나가다보면 주식에 대해 얘기를 했다. 회계가 뭔지조차 모르는 공대생들이 MTS를 키고 차트를 보며 매매를 했으며, 조금 공부해 보겠다고 하는 친구들은 차트 분석을 공부하겠다며 도서관에서 책을 빌려갔다. 그렇지만 여기에 빠진게 있었다. 채권시장이다. 주식보다도 더 큰(2018년 1월의 기사에는 국내 주식시장 규모가 채권시장 규모보다 커졌다는 기사도 있지만, 세계적으로 채권시장이 주식시장보다 더 크다.) 채권을 보지 않고서는 전체적인 자산시장을 보지 않고 한 쪽눈만 뜬채 위태롭게 갈팡질팡할 수 있기 때문이다. 최근 경제기사를 보면 나오는 일드커브 평탄화같은 경우에도 채권지표의 .. 2018. 12. 15. 데이비드 드레먼의 역발상 투자 p.9 우리는 '더 많은 정보'가 아닌 '더 정확한 정보'를 찾는 데 주력해야 한다. p.19경기 침체가 도래한다고 믿고 국채를 사고, 경기 과열로 앞으로 물가가 걷잡을 수 없이 오르리라고 믿고 금을 사는 행위는 동일한 시장 사건을 두고 정반대의 반응을 보이는 것이다. 마치 경주마 한 필이 우승할 확률과 꼴찌로 들어올 확률에 거액을 거는 것과 마찬가지다. 어느 쪽이나 하우스의 승률이 훨씬 높기 때문에 투자자, 즉 도박꾼은 돈을 날리게 되어있다. p.21오랜 세월 투자자들은 채권에 돈을 묻어두는 것이 신중한 투자라고 생각했다. 하지만 지금 그렇게 하면 망한다. 가장 안전한 투자처라고 생각했던 미국 단기 국채는 1946년 이후 구매력이 77% 하락했다. p.22유용한 이론은 남겨두어야 하지만, 통하지 않는 .. 2018. 5. 30. MONEY p.221. 내가 정말로 원하는 것은 무엇인가? (비전)2. 중요한 것은 무엇인가? (가치)3. 어떻게 얻을 것인가? (방법)4. 그것을 얻는 데 걸림돌은 무엇인가? (장애)5. 내가 성공했는지 어떻게 알 수 있는가? (측정) p.29~30결국 우리가 좇는 것은 돈이 아니다. 그렇지 않은가? 우리가 정말로 좇는 것은 느낌이나 감정이다. 우리는 돈으로 다음과 같은 감정을 만들 수 있다고 '생각'한다. 역량이 강화되었다는 느낌자유의 느낌안전의 느낌사랑하는 사람과 가난한 사람을 도울 수 있다는 느낌선택권이 있다는 느낌'제대로 사는 것'같은 느낌 p.30~31모든 머니게임이 다 경박하지는 않다. 이 게임은 인생 태도를 반영한다. 어떤 사람은 옆에 앉아 다른 사람의 게임을 구경만 하고, 어떤 사람은 이기기 위해 .. 2018. 5. 25. 슈퍼 트레이더 p.8~9 다음 질문들을 자신에게 던져보기 바란다. 1. 나는 트레이딩 혹은 투자를 사업으로 취급하고 있는가? 사업을 시작할 때 만반의 준비를 하는 것처럼, 트레이딩을 하기 위해 철저히 준비했는가?2. 트레이딩의 지침이 될 만한, 문서로 된 사업계획서가 있는가?3. 걸핏하면 실수를 범하는가? (여기서 실수란 정한 규칙을 어기는 것을 말한다)4. 실수를 방지하기 위해 정규적인 일과를 따르고 있는가?5. 검증된 시스템을 보유하고 있는가?6. 이 시스템이 서로 다른 유형의 시장에서 어떤 실적을 내는지 알고 있는가?7. 현재 시장이 어떤 상황이며, 이런 시장상황에서 내가 보유한 시스템으로 어느 정도의 수익을 기대할 수 있는지 알고 있는가?8. 만약 이를 모른다면, 이미 손을 털고 빠져나왔는가?9. 시장에서 현재.. 2018. 5. 24. 듀얼 모멘텀 투자 전략 p.9 왜 12개월 동안 주가가 가장 많이 상승한 종목을 매수해야 하나요? 6개월 동안 주가가 가장 많이 상승한 종목이나 1개월 동안 주가가 가장 많이 상승한 종목에 투자하면 안 되나요? 왜냐하면 바로 애널리스트들이 새로운 정보에 적응하는 데 걸리는 시간이 평균적으로 12개월 정도이기 때문이라고 합니다. p.15첫째, 가장 오른쪽 위에 있는, 역사가 길고 실질 수익률도 가장 높은 주식시장이 공교롭게도 미국이라는 점입니다. 따라서 예외적으로 장기 성과가 좋은 미국 데이터를 근거로 주식에 장기 투자하라고 가르치는 것은, 서울 강남의 집값이 계속 오르니 강원도 산골도 장기 투자에 적합하다는 말과 같을 수 있습니다. 둘째로, 대체로 주식시장의 역사가 길고 선진시장일수록 장기 실질 성과가 높은 것을 볼 수 있습니.. 2018. 5. 24. 이전 1 ··· 7 8 9 10 11 12 13 ··· 1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