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제/투자104

글로벌 투자 전쟁 p.23 미국의 경우를 살펴보자. 1983년 이후의 데이터를 보면 중산층으로 분류되는 게층은 부동산이 자산의 60% 이상을 차지한다. 그리고 이 비중은 1980년대 이후, 특히 부동산에서 시작됐다고 볼 수 있는 2008년 세계 금융위기 이후 더욱 늘어났다. 아이러니다. 뉴욕 대학교 에드워드 울프Edward Wolff의 조사에 따르면 이 비중은 1983년 61.6%에서 2010년 66.6%까지 상승했다. p.25전문 투자자가 투자 전략을 고려할 때 가장 중요하게 여기는 두 가지가 있다. 바로 '뎁스depth'와 '브레스breadth'다. 우리말로는 수직 폭과 수평 폭, 깊이와 너비 정도로 이해하면 좋을 것이다. 뎁스는 한 종목에 투자했을 때 얻을 수 있는 수익률의 정도를 의미한다. 당연히 뎊스가 깊은 것이.. 2017. 12. 4.
앞으로 3년, 미국 랠리에 올라타라 p.7 미국 시장은 전 세계에서 정보가 가장 풍부하며, 투명하게 공개되는 곳이다. 한국 투자자들에게 필요한 것은 신흥국 몰빵 투자가 아니라 선진국 분산투자다. p.36~37트럼프에게 대응하는 방법은 그의 말 한 마디 한 마디에 일희일비하지 않는 것이다. 막말은 전략일 뿐이고, 협상 테이블에서 어떻게 나올지는 두고봐야 하는 일이다. 특히 트럼프는 말을 바꾸는 데 부담이 없다. 학자도 정치인도 아니고, 워낙 말을 많이 바꿔서 사람들도 익숙하다. 트럼프가 하는 말의 무게를 과대평가해서 전전긍긍할 필요는 없다. 무엇보다 사실을 봐야 한다. 트럼프의 막말 뒤에는 의도가 있다. 트럼프는 막말을 정교하게 디자인할 만큼 치밀한 사람은 아니지만, 그렇다고 아무 말이나 하는 것이라고 생각해서는 안 된다. 트럼프가 발언한 .. 2017. 11. 28.
스마트베타 p.15~16 과거에는 시장을 꾸준히 이겨왔던 초과 수익이 매니저의 특별한 능력으로 여겨졌다. 그러나 금융의 발전과 여러 연구를 통해, 이러한 초과 수익이 배당, 소형주, 가치, 성장 등 특정한 팩터에 의해 발생하며, 사전에 정해진 규칙을 통해 이러한 팩터에 대한 노출이 투명하게 운용될 수 있다는 사실이 밝혀지고 있다. 즉 과거에는 알파로 여겨졌던 것들이 최근에는 베타화되고 있으며, 이를 스마트베타라 한다. p.19국내외 지수들의 지니계수(2017년 1월 말 기준)지수 시가총액 최대종목 비중(%) 지니 계수 KOSPI 200 27.87 0.750 S&P 500 3.50 0.580 CSI 300 4.19 0.472 MSCI DM 1.89 0.614 MSCI AC 1.69 0.661 NIKKEI 225 7... 2017. 11. 28.
똑똑한 배당주 투자 p.42 사업보고서의 설명이 쉽고 그래프나 도표를 곁들어 풀어 쓴다면, 소액주주와 소통하려는 의지가 있다고 볼 수 있다. 반대로 전문용어를 별도의 설명도 없이 마구 쓸 뿐만 아니라 내부사정에 대해서도 다소 성의 없게 쓴다면, 주주와 소통할 의지가 있는지 의심해 볼 수 있다. 만약 어려운 한자어를 병음 없이 쓴다면, 주주와의 소통 문제를 넘어 기업 내부의 분위기도 상당히 보수적임을 짐작할 수 있다. p.49 배당성향이란 기업이 일정기간(주로 1년)의 순수익 중에서 현금으로 주주에게 주는 배당금 총액의 비율을 말한다. 예를 들어 A사의 당기순이익이 1억원이고 배당금 총액이 3,000만원이라면 배당성향은 30%이다. 배당성향(%) = 배당금총액/순이익 * 100 p.50 주가배당금(DPS) = 배당금 총액/발.. 2017. 11. 28.
숙향의 투자 일기 p.11~12 저는 매사를 이렇게 받아들입니다. 가치는 찾아내는 것이라고. 직장생활 자체가 주식투자에 있어 이미 유리한 조건이 된다는 생각입니다. 회사 실무를 통해 일반기업이 어떻게 운영되는지를 직간접적으로 경험할 수 있다는 것은 투자 관점에서만 기업을 보는, 소위 투자전문가들에 비해서도 당연히 유리한 지점입니다. 자신의 강점에 대해 생각해보고, 찬찬히 찾아보길 권합니다. p.12이 책에서 찍은 방점은 2개입니다. 먼저, 직장인과 주식투자자를 따로 생각하지 말자는 것입니다. 직장인이라는 상대적으로 유리한 조건을 십분 발휘해서 주식투자에 임하자는 생각입니다. 또 하나는, '투자와 기록의 상관관계'에 관한 것입니다. 저는 투자 과정에서의 기록이 곧 다음 투자를 위한 밑천이라고 생각합니다. 저를 키운 것 역시.. 2017. 11. 22.
The Permanent Portfolio p.xi Over the long term, this passive investing approach has been shown to produce above average returns for patient investors. Why? There are many reasons, but primarily because investing in index funds costs much less than nearly any other method. p.xiiAccording to Browne, the Permanent Portfolio should provide three key features : safety, stability, and simplicity. He argues that your permane.. 2017. 11.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