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다큐149

위대한 수업 : 정신건강 특집 <트라우마> 1강 - 트라우마 환자에게 생기는 일 A. 트라우마가 무서운 이유 - 트라우마가 무서운 건 사랑하기 어려워진다는 거에요. - 이런 사람들은 복잡한 인간관곌르 피하고자 시도 때도 없이 일만하다 워커홀릭이 되죠. - 이런 현상은 역사적으로 2차 세계대전 이후 한국, 일본, 독일에서 많이 볼 수 있었습니다. 당시 큰 트라우마를 겪은 사람들은 트라우마를 나누거나 생리적인 증상을 겪는 대신에 일하는 데만 모든 에너지를 썼어요. 일하는 건 여전히 안전했고 트라우마를 떠오르게 하지도 않았죠. - 트라우마의 특징은 자신의 감정과 반응을 싫어하게 됩니다. - 트라우마를 겪으면 자신을 신뢰하기 힘들어져요 - 다른 사람을 신뢰하거나 사랑하기 힘들어져요 - 자신을 믿기 힘든 상황에서 트라우마 환자는 두 가지로 반응해요 - 투.. 2023. 6. 3.
[Full] 인물사담회 - 제1화 - 냉전을 녹인 소련 대통령 바보 '고르바초프' https://youtu.be/OmqP33pYV8Y 2023. 6. 2.
[Full] 인물 사담회 - 3화 인간에 집착한 혁신가, ''스티브 잡스'' https://youtu.be/D7qcC5TpjS8 2023. 6. 2.
2030은 왜 퇴사하나...MZ, 회사를 떠나다 [풀영상] | 시사기획 창 381회 (22.07.26) https://youtu.be/c9AkUwV2kAQ 2023. 6. 2.
인도가 中 대신 '세계의 공장'이 될 수 있을까?.."아니요. 우리는 가난한 나라 인도를 생각하다 보니 내수 중심 국가 인도를 이해 못하는 겁니다."(ft.강성용 서울대 교수) https://youtu.be/sOEF1KUYrMQ 2023. 5. 28.
[몰아보기] 러시아 국민 80%가 전쟁에 찬성하는 이유 f. 서울대학교 이문영 교수 https://youtu.be/-npwwX26Vjk 1. 푸틴이 내세운 전쟁 명분 a. 우크라이나가 나토에 가입하는 건 러시아 안보에 치명적 (글로벌 차원) b. 우크라이나와 러시아는 형제국가다 (국가간 차원) c. 돈바스 지역의 러시아인 (국내적 차원) 2. 우크라이나는 한국과 비슷하다? 3. 이 전쟁은 사실 2014년에 시작되었다 4. 전쟁은 누가 이기고 있나? 5. 전쟁에 대한 세계의 반응 제재에 참여하고 있지 않은 국가들이 엄청 많음. 6. NATO 팽창과 러시아의 대응 2023. 5. 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