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큐149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1년] 아찔한 드론의 역습! 전쟁의 모습이 바뀌고 있다 ㅣ KBS 다큐인사이트 - 뛰는 놈 위에 나는 놈, 미래전쟁 230331 방송 https://youtu.be/AFJ-yRZPvAM 앤드류 그로브가 말한 전략적 변곡점인건가. 1. 무인기 우크라이나 총사령관이 이렇게 이야기했습니다. "바이락타르 TB2 무인기 두 대로 3일간 작전을 했는데, 러시아 전차 8대를 포함해서 총 2,600만 달러의 장비를 파괴했다. 바이락타르 TB2 2대는 100억 원 정도 될 겁니다. 3일 만에 3배의 효과를 달성한 거죠." 2. 스타링크 3. 모자이크전 & GIS 아르타 저희는 이걸 '모자이크전'이라고 부르는데요. 엄청나게 비싸고 중심이 되는 무기체계가 핵심이 아니라 능력이 떨어지는 무기체계라 하더라도 최대한 서로의 상황을 공유하고 연결해서 작전을 완성해 임무를 수행하는 모습을 보이게 되는 거죠. GIS 아르타 - 목표물 식별 후 주변의 적합한 공격 수.. 2023. 4. 1. 포드 자동차 공장 이직률 300%?! 공장의 혁명가도 구인난에 시달리다. ft.남충현 박사 [김정원의 아트노믹스 #6] https://youtu.be/bbKephDrz2M 1. 컨베이어 시스템 시작된 시간 - 1913년(포드사 하이랜드 파크 공장 건립) 2. 포드 이전 : 1907년 영국 코벤트리 자동차 공장 3. 근대적 생산표준화의 기원 : 프랑스 그리보발 시스템, 1765 - 표준화공정은 프랑스대혁명 이후에 적용되었고, 덕분에 나폴레옹의 활약이 커졌다는 분석이 존재 - 헨리 포드는 육가공 공장에서 컨베이어 시스템의 아이디어를 얻음 4. 마그네토 부품의 생산공정 분업화 사례 - 기존 : 마그네토를 한 명의 노동자가 모두 조립 -> 제작속도 : 1인당 15분에 1개 생상 - 포드 : 공정을 29개로 쪼개어 각각 29명의 노동자가 분업 -> 제작속도는 1인당 7분에 1개 -> 5분당 1개 5. 8시간 근무제와 일당 5달러 .. 2023. 3. 26. 미국 은행 위기의 본질은 이것입니다 f. 동국대학교 경제학과 박선영 교수 https://youtu.be/irWbX5CcseM 1. 왜 은행이 특별한가 (2022년 노벨경제학상 수상자, Diamond, Dybvig, Bernanke) a. 만기변환(Maturity Transformation) : 단기예금을 장기투자가 가능하게 대출중개(정보의 비대칭성) -> 은행의 태생적 취약성 b. 은행은 예금자들을 대신해 대출자들을 스크리닝(Screening) & 모니터링(Monitoring), 생산성 높은 대출자들과 관계형성(Banking Relationships) & 정보보유 -> 은행이 많이 망하면 신용 공급이 감소, 경기에 악영향(Great Depression) 2. Banking Panic은 미국 20세기 초까지 자주 발생 a. Banking Panic : 대다수의 예금자가 예금을 .. 2023. 3. 23. (1부) 죽도록 싸우던 사우디-이란, 왜 갑자기 화해했나 f. 서강대학교 유로메나연구소 박현도 교수 https://youtu.be/3P-QMvb7qYA 1. 사우디와 이란은 원래 친미국가 2. 79년 이란에서 이슬람 혁명이 일어난 이후 틀어짐 3. 이란이 사우디아라비아 조롱 4. 사우디에서 반이란 단체 지원 5. 이란인터네셔널이라는 미디어는 사우디가 영국에서 만든 반이란 미디어 6. 2019년 사우디 유전시설 2곳 파괴됨. 7. 페르시아어가 모국어인 사람들이 이슬람 문화를 융성하게 만들었고, 이 때문에 페르시아 문화에 대한 자부심이 강함. 8. 수니파의 종주국은 터키? 9. 사우디와 이란이 화해한 이유? -> 사우디는 안보 확보가 필요 -> 이란은 경제 상황 회복이 필요 -> 이해관계가 맞아떨어짐. 10. 이란 경제상황 -> 환율 : 1달러 3700토만 (오바마 시절) -> 1달러 49000 토만 ->.. 2023. 3. 21. 나는 신이다 - 아가동산 최낙귀씨의 이모 파트는 비겁함의 절정을 보여준다. '나는 이 정도는 아니었어요' '어쩔 수 없이' '걔는 한 마디를 안했어요' 다 변명이다. 2023. 3. 20. Think more rationally with Bayes’ rule | Steven Pinker https://youtu.be/8vHKCrNGPhY These are all versions of a kind of reasoning that is called 'Bayesian', after the Reverend Thomas Bayes. It just means after you've seen all of the evidence, how much should you believe something? And it assumes that you don't just believe something or disbelieve it, you assign a degree of belief. 2023. 3. 11. 이전 1 ··· 15 16 17 18 19 20 21 ··· 2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