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영/전략89

가설이 무기가 된다 https://coupa.ng/cbP0GM 가설이 무기가 된다 COUPANG www.coupang.com p.31 에서 클라우제비츠는 불확실한 환경에서 조직을 이끄는 리더에게 필요한 조건에 관하여 이런 말을 했다. "정신이 예상 밖의 사태를 극복하여 계속되는 전쟁에 승리하려면 2가지 특성이 필요하다. 하나는 새까만 어둠 속에서도 내재되어 있는 빛을 지속적으로 비추어 진실을 추구하는 지성이고, 또 하나는 그 희미한 빛이 비추는 곳으로 나아가려 하는 용기다." p.40~41 일반적으로 기업은 가능하면 많은 정보를 수집한 뒤에 의사결정을 하려는 경향이 강하다. 그래서 경영진부터 사원들까지 정보 수집가처럼 움직인다. 하지만 이런 기업들 대부분은 의사결정을 하는데 너무 많은 시간이 걸려 필요한 시책을 제시간에 실.. 2022. 1. 29.
전쟁을 읽으며 인생을 깨우다 p.7 보르자 가문 통치하의 30년 동안, 이탈리아에서는 전쟁과 테러, 살인, 유혈 사태가 일어났다네. 그러나 동시에 미켈란젤로와 레오나르도 다 빈치, 그리고 르네상스도 낳았지. 그런데 동포애와 함께 5백년의 민주주의와 평화를 누린 스위스는 무엇을 낳았는가? 뻐꾸기시계뿐일세. 영화 [제3의 사나이](1949) 중 해리 라임의 대사 p.19 전략은 전쟁과 평화 양쪽에 필요한 것이다. 전쟁이 평시의 상황에서 생기는 것과 마찬가지로, 평화도 전쟁에 뒤이어 찾아온다. 따라서 전략가는 늘 상황전개에 대비하고 있어야 한다. 만일 전쟁이 '다른 수단에 의한 정치'라고 한다면, 정치 역시 '다른 수단에 의한 전쟁'인 셈이다. p.24~25 전쟁의 7가지 맥락이란 정치, 사회문화, 경제, 테크놀로지, 군사전략, 지정학 .. 2022. 1. 5.
데이터 문해력 https://coupa.ng/ca7T9V 빅데이터 시대 성과를 이끌어 내는 데이터 문해력:그래프와 도표만 바라보는 당신에게 COUPANG www.coupang.com p.26 데이터가 여러분에게 직접적인 답을 주는 경우는 없습니다. 설령 아무리 고난도의 통계와 분석 방법을 구사하더라도말입니다. 대신, '당신이 무엇을 알고 싶은지, 이를 알게되면 무엇을 하고 싶은지, 이를 위해서는 어떤 데이터(지표)가 필요한지' 이를 구체적으로 생각하는 것이 무엇보다도 중요합니다. p.35 대부분은 먼저 '분석 방법이 틀렸다'라며 '방법론'을 원인으로 지목합니다. 하지만 필자는 다음 두 가지가 주요 원인이라고 봅니다. 주요 원인1 : 풀고자 하는 문제가 명확하지 않다. 주요 원인2 : 정의한 문제와 사용하는 데이터가 일.. 2021. 11. 28.
당연하지만 당연하지 않은 - 기회손실 제로의 법칙 열심히 하는 건 당연한 거고, 잘해야지 - 작자 미상 전략이라는 말이 홍수처럼 나오는 시대입니다. 공부도 전략이고, 연애도 전략이고, 결혼도 전략이고, 사업도 전략이고 모든게 전략입니다. 생각해보면 그게 맞는 게 아닌가 싶기도 합니다. 경쟁이 아닌게 없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이 책에서 다루는 전략은 기업에서의 전략을 의미합니다. 사실, 보통의 사람들에게 기업전략은 경영학과에서 배우는 정도이지, 직접 설계하고 수행할 기회는 거의 없습니다. 라고 생각할지 모르겠지만, 어쩌면 직장생활을 막 시작한 신입사원까지도 필요한 게 전략에 대한 이해가 아닐까 생각합니다. 왜냐하면 같은 목표를 향해 align을 하고 효율적으로 업무를 하며 성과를 내기 위해서입니다. 위에서 인용했지만, 단순히 열심히 하는 건 중요하지 않습.. 2021. 1. 28.
기회손실 제로의 법칙 https://coupa.ng/bQxeU9 성안당 기회손실 제로의 법칙+선물 제공 COUPANG www.coupang.com 공지 : 파트너스 활동을 통해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을 수 있습니다. p.19 고통을 동반하지 않는 전략은 없다. 고통 없는 전략은 기업의 성장 가능성과 경쟁력을 위태롭게 만들며 더 큰 위험을 야기할 뿐이다. p.20~21 전략이 필요한 이유는 '한정된 자원의 배분' 때문이다. 한정된 자원을 제대로 배분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두 가지 트레이드 오프가 필요하다. 첫 번째는 현재 자원의 트레이드오프다. 한정된 자원을 어느 곳에 집중시킬 것인가? 거꾸로 말하면 가능성 있는 옵션 중 무엇을 버릴 것인가? 결정해야 한다. 두 번째는 시간 축의 트레이드오프다. 흑자라도 전망 없는 사업은 매각.. 2021. 1. 27.
문제해결력을 기른다 p.15~17 어느 농기구 회사에서 이런 일이 있었다. 사장이 이런 지시를 했다. "우리 회사 영업 사원들은 고객 거래처에서 1시간 정도를 머무는데 그 시간이 너무 길다. 영업 활동과 무관하고 불필요한 잡담만 하고 있기 때문이 아닌가. 불필요한 시간을 줄이도록 하라." 사장이 우연한 기회에 다른 업계의 경영자를 만났는데 방문 관리의 중요성과 함께 그 업계에서는 영업 사원의 체류 시간이 평균 15분 정도라는 이야기를 들은 것이 발단이 된 것 같았다. 당시 농기구 판매업계에서는 농가를 방문하여 이런저런 세상 돌아가는 잡담을 나누고, 때로는 바쁜 농촌 일손도 도와가며 농기구를 판매하는 영업 방식이 성과를 거두고 있었다. 그런데 영업의 효율성만 생각하여 농가를 방문해 영업 내용만 말하고 간다면 어떻게 될까? ".. 2020. 10. 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