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학50 정리하는 뇌 정리하는 뇌 국내도서 저자 : 대니얼 J. 레비틴(Daniel J. Levitin) / 김성훈역 출판 : 와이즈베리 2015.06.22 상세보기 p.34 타인과 상호작용하는 데 있어서 대역폭, 즉 정보처리 속도의 제약은 어떤 의미를 지닐까? 누군가가 우리에게 말하는 내용을 이해하려면 우리는 초당 60비트 정도의 정보를 처리해야 한다. 우리의 처리속도 한계가 초당 120비트임을 고려하면, 이는 우리가 동시에 두 사람이 말하는 것을 간신히 이해할 수 있다는 의미다. 대부분의 경우, 우리는 세 사람이 동시에 하는 말을 이해할 수 없다. 우리는 지구상에 존재하는 수십억 명의 사람에게 둘러쌰여 있지만, 한순간에 동시에 이해할 수 있는 사람의 숫자는 기껏해야 둘이다! 이렇게 보면 이 세상이 오해로 가득한 것은 당연.. 2019. 10. 14. 뇌, 욕망의 비밀을 풀다 - 산이 높으면 골이 깊다 뇌, 욕망의 비밀을 풀다 국내도서 저자 : 한스-게오르크 호이젤 (Hans-Georg Hausel) / 강영옥,김신종,한윤진역 출판 : 비즈니스북스 2019.10.04 상세보기 * 이 책은 출판사로부터 책을 제공받아 작성하는 서평입니다 * 뉴로마케팅 뭔가 있어보인다. 특히 10억 연봉의 자수성가했다는 유투버의 추천사가 있으니, 뭔가 구양신공 같은 무공비급이 적혀있을 거 같은 분위기를 자아낸다. 특히 이 책을 '통해' 성공했다며 비즈니스 뿐만 아니라 '인생'을 바꿨다고 하니, 자기계발서 독서를 멈추고 당장에라도 이 책을 잡지 않으면 손해보는 느낌이다. 이 분의 사업이 무엇인지는 몰라도 호객은 정말 잘하시는 듯 하다. 그 지점이 불편했다. 어떤 책 한 권을 읽는다고해서 곽정이 항룡십팔장을 읽어 절대고수가 되.. 2019. 9. 29. 빌 게이츠는 왜 과학책을 읽을까 빌 게이츠는 왜 과학책을 읽을까 국내도서 저자 : 유정식 출판 : 부키 2019.09.16 상세보기 p.18~19 한 때 "중국은 인구가 14억 명이 넘으니까 1퍼센트만 차지해도 그게 얼마야?"라며 중국 관련 사업을 장밋빛으로 보던 사람이 꽤 있었다. 하지만 이는 망상이다. 매출순으로 1위부터 꼴찌까지 나열하면 정규분포가 아니라 멱함수분포가 나타나기 때문이다. 이 멱함수 분포에서 1000개의 기업이 존재할 경우 1퍼센트의 시장 점유율을 기록하는 업체가 되기 위해서는 매출 순위가 얼마여야 할까? 영국의 소프트웨어 개발자 앤디 브라이스는 13위가 되어야 겨우 시장의 1퍼센트를 차지할 수 있다고 말한다. 업체수가 100개라면 19위는 해야 1퍼센트를 차지할 수 있을 뿐이다. 비즈니스가 냉혹한 현실인 이유는 세.. 2019. 9. 28. 평균의 종말 평균의 종말 국내도서 저자 : 토드 로즈(L. Todd Rose) / 정미나역 출판 : 21세기북스(북이십일) 2018.03.27 상세보기 p.27 평균적 인간을 바탕으로 삼아 설계된 시스템은 실패하기 마련이다. p.30 당신은 평균적인 사람이 아니다. 당신의 아이도 동료도 학생도 배우자도 평균적인 사람이 아니다. 이 말은 기분을 띄워주려고 꺼낸 빈말도 아니요, 겉멋만 부린 빈 구호도 아니다. 무시하려야 무시할 수 없을 만큼 수많은 실질적 귀결들이 뒷받침하고 있는 그런 과학적 사실이다. p.52 잠시 곰곰이 생각해보면 사실상 '평균 치수'가 의미하는 것은 분명치 않다. 평균 치수란 보통 사람의 치수를 가늠할 대략적 지침으로 봐야 할까? 아니면 무작위로 선정된 사람의 치수 추산에 대한 어림값으로 봐야 할까.. 2019. 9. 19. 특이값 분해(SVD)의 기하학적 의미와 활용 소개 1. SVD의 기하학적 의미 직교하는 벡터 집합에 대하여 선형 변환 후에 그 크기는 변하지만 여전히 직교할 수 있게 만드는 그 직교 벡터 집합은 무엇이고, 변형 후의 결과는 무엇인가? 2019. 7. 28. Least Square 1. 핵심 개념 : 정사영(Orthogonal Projection) 2. dot product = 0 -> 직각 3. 선형대수는 항상 함수적인 관점에서 바라보자! 4. orghogonal = 선형 독립 5. 2019. 7. 21. 이전 1 2 3 4 5 6 7 8 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