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학50 안티프래질 p.13 바람은 촛불 하나는 꺼뜨리지만 모닥불은 살린다. 무작위성, 불확실성, 카오스도 마찬가지다. 나는 당신이 이런 것들을 피하지 않고 활용하기를 원한다. 불이 되어 바람을 맞이하라. 지금 하는 말은 무작위성과 불확실성에 대한 필자의 반항적인 태도를 잘 보여준다. 우리는 불확실성을 다루면서 겨우 살아남기만을 원하지는 않는다. 로마 시대의 공격적인 스토아 철학자들처럼 불확실성에서 살아남을 뿐만 아니라 결정적인 발언권을 가지려고 한다. 우리의 임무는 눈에 보이지 않으면서 불투명하고 설명할 수 없는 대상을 길들이고, 심지어 지배하고 정복하는 것이다. 그럼 어떻게 이런 임무를 완수할 것인가? p.18 역사상 어떤 순간에도 리스크를 감수하지 않는 사람들, 즉 개인적으로 리스크에 노출되지 않은 사람들이 지금처럼 .. 2023. 9. 24. 신도 주사위 놀이를 한다 p.15 인간사는 원래부터 늘 혼란스러웠지만 과학 분야에서조차 '자연은 정확한 법칙을 따른다'라는 옛 관념이 더 유연한 견해에 자리를 내주었다. 우리는 근사치에 가까운 법칙과 모델을 찾을 수 있다. 하지만 모두 언제라도 새로운 증거가 나오면 대체될 수 있어 잠정적이다. 혼돈 이론은 엄격한 규칙을 따르는 대상조차 예측이 불가능할 수 있다고 이야기한다. 양자 이론은 가장 작은 수준에서 우주가 본질적으로 예측 불가능하다고 말한다. 세계란 이렇듯 불확실성으로 이루어져 있다. 불확실성이란 단지 인간의 무지를 드러내는 표지가 아니다. p.16 우리는 시간에 구속된 동물이기에 미래를 걱정한다. 흐르는 시간 속에서 자신의 위치를 강하게 의식하고 미래에 일어날 일을 예측하며 이 예측에 따라 현재의 행동을 결정한다. 사람.. 2023. 8. 26. 세상을 바라보는 힘 통계 안목 p.21~22 산술평균을 잘못 사용하는 경우도 많다. 가장 흔한 잘못은 기하평균을 사용해야 할 때 산술평균을 사용하는 일이다. "재작년에 우리 기업 매출이 20% 증가하고 작년에 5% 증가했으니까 최근 2년 간 우리 회사 매출은 평균 12.5% 증가했다"고 말하면 평균을 잘못 사용한 것이다. 증가율의 평균을 계산할 때는 반드시 산술평균이 아닌 기하평균을 사용해야 한다. 기하평균으로 구한 증가율은 12.2%다. 예를 들어 당신의 펀드 매니저가 "작년에 주식 수익률이 50%고 금년에는 마이너스 50%였으므로 2년 동안 평균 수익률은 0%입니다."라고 하면 이 또한 당신을 속인 것이다. 올바른 평균 수익률은 마이너스 13.4%다. 2023. 6. 26. 자신의 존재에 대해 사과하지 말 것 p. 2023. 6. 25. 다윈이 자기계발서를 쓴다면 p.5 유전자는 행복이든 불행이든 그 어느 쪽도 오랫동안 지속되길 바라지 않는다. 왜? 행복감이 너무 오래 지속되면 게을러지고 나태해져서 유전자를 널리 퍼뜨리려는 의지가 약화될 것이고, 반대로 불행에 빠져 우울감이 너무 길어지면 삶을 포기하게 되어 유전자 자체가 사라질지도 모르기 때문이다. 그래서 유전자는 당신이 행복하길 바라되, 삶에 대한 열정과 의지를 잃지 않도록 아주 잠깐 동안만 행복하길 바라고, 불행에 빠진다면 하루빨리 벗어나도록 돕는다. 우리 몸속에 있는 유전자는 하루아침에 만들어진 것이 아니다. 수백만 년 동안의 진화를 거쳐 만들어진 것이다. 그리고 그 시간 동안 유전자가 목표로 삼은 것은 세대를 뛰어넘어 자기 자신을 보존하는 것이었다. 현대인의 삶에 갈등과 문제가 생기는 가장 큰 이유는 우리.. 2023. 6. 18. 양적 추론 p.22~23 다음은 우리의 질문을 해결하기 위한 대략적인 절차입니다. 1. 질문을 바라보는 방식 a. 여러분의 본능에 숨어 있는 편견이나 의견은 무엇입니까? 이것들을 분석 과정에서 분리해야 할 것입니다. b. 질문은 명확합니까? 좀 더 구체적일 필요가 있나요? 필요에 따라 수정하고 해석합니다. c. 이 질문에 대한 대답은 어떻게 될까요? 2. 모델 구축 a. 여러분의 분석에 포함된 요인은 무엇인가요? 그 이유는요? 왜 다른 요인은 생략했나요? b. 여러분이 수집해야 하는 수치 데이터는 무엇인가요? 사용하는 데이터의 출처는 어디입니까? c. 문제를 모델링하기 위해서 필요한 가정은 무엇입니까? d. 관련 요인을 분리했다면 어떻게 모델을 만들건가요? e. 오류의 원인은 무엇입니까? 얼마나 큰가요? 가능한 한.. 2023. 6. 6. 이전 1 2 3 4 5 ··· 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