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영/전략

만화라서 편한 - 맥킨지 문제해결의 기술

by Diligejy 2022. 7. 16.

 

속칭 맥킨지~~ 류 책을 그동안 한 권이라도 읽어보신 분이라면 사실 이 책은 중복되는 내용이라 꼭 읽으실 필요는 없습니다.

MECE, 로직트리, 이슈트리, 로지컬 씽킹, 3C, 4P 등등 이미 다른 책에 실린 내용이 그대로 나오니까요.

 

다만 만화형식으로 되어있는 책으로 다시한번 재미삼아 보시고 싶다면 금방 호로록 읽으실 수 있으니까 시간낭비까지는 아니라고 생각합니다. 잠시 머리 식히는 용도? 그정도로 괜찮습니다.

 

반면 맥킨지~~ 류 책을 읽어보시지 않았고 왠지 그런 책에 거부감이나 약간 어렵다고 느끼시는 분이라면 이 책으로 시작하는것도 괜찮을듯 합니다. 만화로 되어있거든요. 물론 중간중간 설명해주는 란이 있긴 하지만, 그래도 만화로 되어있다는 게 어딥니까. 그렇지 않나요?

 

만화속에서는 이해관계자들의 협력과 사장의 전폭적인 지원 그리고 갑자기 도산 직전에서 해외 진출을 앞두는 성장까지 휙 하고 전개됩니다. 약간 어렸을적 세계명작동화처럼 행복한 세상을 보여주기 위해서인거 같긴 합니다. 하지만 컨설팅에서 사용하는 로지컬 씽킹을 익힌다고 사업이 한방에 휙 하고 잘된다면 누가 그렇게 못할까요.

 

그리고 도산을 앞둔 회사라면 사장이 의사결정을 잘 못하고 변화에 적응하지 못했다는 의미일텐데 갑자기 변화에 동의하는 사장이 어디있을까요. 하하. 그리고 이해관계자들이 갑자기 그렇게 변화에 협력을 잘해주는 조직이 어디있을까요.

 

약간 동화책을 읽는거 같아 매일같이 차가운 현실을 바라보는 직장인으로서 약간 현실감이 떨어져서 아쉬웠습니다. 만약 동화책이 아닌 현실 컨설팅 세계를 묘사한 책을 읽고 싶으시다면 제이 B. 바니, 트리시 고먼 클리포드의 [전략 퍼즐]이란 소설책을 추천드립니다. 

 

물론 이 소설책도 약간은 동화적인 요소가 있긴 하지만, 그래도 이 책보다는 약간 더 현실감을 살리려 노력한 흔적이 보이거든요.

 

 

밑줄긋기

p.27

'눈앞의 문제'는 '진짜 문제'로 인해 일어나는 '현상'이야.

 

예를 들어 세이코도의 '문제'가 '매출 부진'이라고 한다면 그 매출 부진의 원인은 뭔데?

 

모르겠지?

 

'문제가 명확하지 않다'는 것은 '해결할 수 없다'는 거야.

현상의 원인이며! 더 구체적인 해결책을 이끌어낼 수 있는 것. 그것이 우리가 싸워야 할 상대. 

즉, '진짜 문제'인 거야!

 

p.106

좋은 기준을 세우면 세울수록 블루오션, 즉 경쟁 상대가 없고 고객이 원하는 영역을 찾기 쉬워집니다. 이 영역의 상품을 개발하면 성공 확률은 높아집니다.

 

p.109~110

'애초에 화과자의 가치는 뭐지?'

'보기에 아름다운 것도 가치가 있지. 일본의 사계절을 형상화하여 어떤 의미로 일본 문화를 나타내는 수단이 되기도 하고.'

'칼로리가 적으니 다이어트에 대한 보상으로써 최고일지도?'

등등.

생각이 막혔을 때는 '애초에'라고 생각해보십시오.

새로운 발상을 하게 될 가능성이 높아집니다.

 

또 '애초에'는 상대의 가능성을 넓혀줄 때에도 효과가 있습니다.

누군가 일이 잘 되지 않을 때,

'왜 안 돼?'

라고 물어보면 당사자도 아무 대답을 할 수 없겠죠. 알면 이미 행동에 옮겼을 테니까요.

 

그러니

'애초에 무엇이 신경 쓰이는지?'

'애초에 어떻게 하고 싶은지?'

회의에서 논의에 진척이 없다면,

'애초, 우리는 무엇을 하고 싶은거죠?'

와 같은 질문을 던져 봅시다.

 

p.160

'진짜 문제'와 '진짜 해결책'을 파악했다면, '30초'로 전달할 수 있습니다. 

 

그러므로 프레젠테이션을 할 때에도, '핵심'을 30초 이내에 전달하는 것 부터 시작해봅시다.

 

목표는 

- 한 문장일 것

- '문제점 + 해결책 + 실시방법'이 포함되어 있을 것입니다.

 

가쿠의 경우라면,

"매상 부진의 원인은 신제품이 개발되지 않았기 때문이니(문제점), 세이코도의 장인의 실력을 살려(실시방법), 외국인 관광객을 타깃으로 한 고가의 신제품을 개발(해결책)하고자 합니다"가 됩니다.

'경영 > 전략' 카테고리의 다른 글

복잡한 문제를 간단하게 풀어주는 생각의 기술  (0) 2022.10.18
포사이트  (0) 2022.08.28
예측하지 말고 대응하라 - 전략가의 시나리오  (0) 2022.07.16
숙단사고  (0) 2022.07.16
마켓컬리 고객중심  (0) 2022.06.12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