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3413 2015년 빚더미가 몰려온다(5) p.114~115 19세기 영국은 강력한 제조업 기반이 있었다. 1860년, 세계 제조업 생산량의 20%를 유럽 서쪽의 작은 섬나라인 영국이 차지하고 있었던 것이다. 이 같은 제조업 생산 역량은 영국을 세계 무역의 중심지로 만들었다. 1870년, 영국은 세계 제조업 무역량의 절반에 가까운 46%를 차지할 정도에 이르렀다. 그런데 무역 거래는 계약이 이뤄지고 물건을 인도할 때까지 상당한 시간이 걸리는데다, 이동 거리도 멀어서 그에 따른 위험성도 매우 크다. 이 같은 무역 거래의 특성을 보완하기 위해 영국에서는 일찍부터 금융 산업이 발달했다. 우선 무역을 하는 데는 거래 상대의 신뢰도가 가장 중요했기 때문에 신용을 조회할 수 있는 시스템이 발달했다. 또 무역 게약에서 인도까지 오랜 시간이 거릴는 만큼 신용 .. 2015. 11. 30. 2015년 빚더미가 몰려온다(4) p.82~84 당시 미국에서는 소수의 부자뿐만 아니라 모든 미국인이 함께 번영을 누렸다. 미국 가계의 실질 소득이 해마다 평균 2.8%나 늘었다. 특히 소득 순위가 하위 50%인 미국인들은 이 기간에 소득이 두 배 가까이나 빠르게 늘어났다. 2007년 가치로 환산했을 때 1947년부터 1975년까지 미국의 가게 수입은 평균 2만 5,000달러에서 5만 5,000달러로 늘어났다. 번영의 시대에 미국은 지금과 달리 강력한 사회안전망을 가지고 있었다. 실업에 대한 재교육과 재취업제도는 당시 사회주의를 추구하던 유럽보다도 앞서 있었다. 1950년대 중반에는 전체 근로자의 3분의 1이 노동조합에 가입해, 미국 역사상 가장 활발한 활동을 했다. 그러나 노조에 대한 시장경제학자들의 우려와는 달리, 미국의 시간당 생산.. 2015. 11. 30. 자본주의 이후의 사회(2) p.74~75 간혹 [다윈=마르크스-프로이트]가 [현대세계를 창조한 삼위일체]로 인용되고 있다. 만약 이 세상에 정의라는 것이 있다면 마르크스는 빼고 테일러를 대신 집어넣어야만 한다. 그러나 테일러가 그에 걸맞는 영광을 누리지 못한 것은 사소한 문제이다. 그렇지만 지난 100여년간의 폭발적인 생산성 향상을 통해 선진국 경제를 창조한 것은 작업에 대한 지식의 적용이라는 것을 인식하는 사람이 너무나도 적은 것은 심각한 문제이다. 기술자들은 기계에, 경제학자들은 자본투자에 그 공을 돌리고 있다. 자본주의 역사의 처음 100년간, 즉 1880년을 기준으로 하여 그 이전의 100년 동안 기계와 자본에 대한 투자는 굉장한 성과를 올렸다. 기술이나 자본은, 두번째 100년간(1880년 이후 1980년까지)은 처음의 .. 2015. 11. 29. 2015년 빚더미가 몰려온다(3) p.61 헝가리의 경우, 경기가 한창 좋았던 2000년대에 집값이 오르기 시작하자 헝가리인들은 빚을 내서 집을 사기 시작했다. 그런데 헝가리 국내 이자율은 장기 대출을 받기에는 상당히 높았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이자가 훨씬 싼 스위스 프랑이나 유로화로 돈을 빌렸다. 외국 은행들이 헝가리 포린트Forint화로 돈을 빌려주려면 우선 자국 통화를 포린트화로 바꾸어야 하는데, 이때 포린트화 가치가 떨어지면 이자를 받아도 오히려 손해를 볼 수가 있다. 이 같은 환율변동 위험 때문에 외국 은행들이 포린트화로 대출해 줄 때는 더 높은 금리를 받으려 했고, 그래도 헝가리인들은 더 싼 이자만 좇아 전체 대출의 3분의 2를 외국 통화로 빌렸다. 그런데 2008년 금융위기가 오자 하루아침에 포린트화 가치가 반 토막 났다. .. 2015. 11. 29. Next Society(2) p.102~107 오늘날 대부분의 사람들은 경제 역사상 정보혁명만큼 빨리 진행되었거나 또한 더 큰 영향을 미친 것은 없다고 생각한다. 그러나 산업혁명도 정보혁명과 비슷한 정도의 빠른 속도로, 그리고 정보혁명만큼 큰 영향을 미쳤다. 산업혁명은 18세기와 19세기 초 가장 중요한 산업 소비재, 즉 섬유 생산을 필두로 제조 공정의 대부분을 급속히 기계화했다. '무어의 법칙Moore's Law'에 의하면 정보혁명의 기본 구성 요소인 마이크로칩의 가격이 매 18개월마다 절반으로 떨어진다고 하는데, 제1차 산업혁명으로 생산이 기계화된 제품들도 마찬가지였다. 면직물 가격은 18세기부터 시작하여 50년 사이에 90%나 하락하였다. 면직물의 생산량은 같은 기간 동안 영국에서만 적어도 150배 증가하였다. 산업혁명은 섬유.. 2015. 11. 29. Next Society(1) p.25~26 다음 사회는 '지식사회knowledge society'일 것이다. 지식이 가장 중요한 핵심 자원이 될 것이고, 지식근로자가 노동시장의 지배적 집단이 될 것이다. 지식사회의 세 가지 주요 특징은 다음과 같을 것이다. 첫째, 국경이 없다. 지식은 돈보다 더 쉽게 돌아다니기 때문이다. 둘째, 상승 이동이 쉬워진다. 누구나 손쉽게 정규 교육을 받을 수 있기 때문이다. 셋째, 성공뿐 아니라 실패할 가능성도 높다. 누구나 '생산수단', 즉 어떤 직무의 수행에 필요한 지식을 쉽게 얻을 수 있기 때문에 성공할 수 있지만, 그렇다고 해서 모두가 승리할 수는 없기 때문이다. 이런 세 가지 특징이 상승 작용하여 지식사회를 고도의 경쟁사회로 만들 것이며, 그 점은 조직에도 개인에게도 마찬가지일 것이다. 정보기술.. 2015. 11. 28. 이전 1 ··· 518 519 520 521 522 523 524 ··· 56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