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영372

우리가 꿈꾸는 회사 p.11 마이다스는 공학해석과 설계 그리고 웹 비즈니스 통합 솔루션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업이다. 쉽게 말해 건축물이나 기계장치를 설계할 때 안전성 등을 시뮬레이션하는 소프트웨어 제작 회사다. p.11~12세계 최고층 건물인 부르즈 칼리파, 상하이 엑스포 파빌리온 등, 인류사에 길이 남을 수많은 건축물들이 이들의 소프트웨어를 바탕으로 지어졌다. p.12흥미로웠던 것은 마이다스의 독특한 기업문화였다. 이 회사 구성우너들은 한마디로 지독했다. 야근수당이 없는데도 어느 회사보다도 야근을 많이 하고, 누가 시키지 않았는데도 무려 20일 동안 자발적으로 끝장 워크숍을 하기도 한다. 회사는 그런 구성원들에게 편하게 낮잠 자라고 목베게를 선물로 주고, 열정이 있다면 2년차 신입사원에게 팀장 자리를 맡기기도 한다. p... 2018. 3. 20.
나는 다른 것을 본다 p.6 대중은 좋은 것을 보면 감탄하지만, 다른 것을 보면 갖고 싶어 한다. p.9비즈니스는 판을 다르게 읽는 것이 아니라, 다른 판을 만드는 것이다. 머릿속 아이디어를 눈앞의 결실로 끄집어내야 비로소 진정한 '다름'이 완성된다. p.20~21지금부터라도 일상을 당신만의 볼거리로, 인사이트의 창고로 만들어보길 바란다. 사람들이 어떤 날씨에 무엇을 먹는지, 요즘에는 어떤 옷을 입는지, 거리를 뒤덮은 커피 전문점과 치킨집이 어떻게 진화하는지를 들여다보길 바란다. 지극히 평범해 보이는 일상에서 영감을 얻고, 통찰을 끄집어내어 아이디어로 만들어보라. p.21사람들은 자신이 직접 관여할 사항이 아니면, 현실과 다른 의견을 말하곤 한다. 눈앞에 보이는 것을 오롯이 믿어서는 안 되는 이유다. 대중의 말을 곧이곧대로 .. 2018. 3. 14.
인사이드 애플 p.36 그는 전형적인 엔지니어와는 거리가 멀었지만 장차 그의 고객이 될 일반 소비자를 위해 엔지니어들에게 어떤 제품을 만들라고 지시할 수 있는 만큼 필요한 기술들을 충분히 잘 알고 있었다. p.44비즈니스 역사에서 위대한 인물들은 세상을 바꾸겠다는 뜨거운 열망으로 가득찬, 위험을 감수하는 '생산적인 자아도취자'형이었다. 기업에서 자아도취자들은 성공하기 위해서라면 무슨 일이든 하며, 다른 사람이 자신을 어떻게 생각하는지는 전혀 신경 쓰지 않는 카리스마 있는 리더들이다. p.48잡스는 그들이 만난 사람들 중 가장 상상력이 풍부하고, 결단력과 설득력을 갖춘 사람이었다. 그들은 잡스가 부하직원들과 함께 열심히 노력하고 그들에게서 놀라운 창의력을 이끌어낸다는 사실을 인정했다. 그의 벼락같은 호통과 냉엄한 비판은.. 2018. 3. 3.
취업 독설 특강 p.17 본인이 희망하는 직무가 확정돼야 결정할 수 있는 것들이 구체화된다. p.18자기소개서와 면접 준비는 직무 분석과 확립 이후다. p.21가장 중요한 것은 취업 마인드이다. 만약 취업을 타인을 따라 무작정 하는 것이라면, 서류가 완성되었든 면접 능력이 뛰어나든 D등급이다. p.24상시모집에 대한 가장 중요한 이야기 하나. "희망 기업 다섯개를 정해라." 정해놓은 다섯 개 정도의 희망 기업만큼은 주기적으로 공채와 상시모집에 대한 정보를 놓치지 않도록 해야 한다. p.29"좋아하는 분야에서 잘하는 일을 하자." p.122결론적으로 취업을 하려는 지원자들에게 어떤 경험이 좋은 경험일까? 현실적인 답변을 하자면 희망 직무와의 연계가 가능한 경험이 좋은 경험이다. p. 2018. 1. 25.
숫자로 경영하라 p.26~27 미국의 연구결과에 따르면, 기업이 자발적으로 뉴스를 시장에 공시하는 행태는 지난 수십년 동안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이를 분석한 결과 1970~1980년대의 자발적 공시 내용은 신기술 개발, 이익증가 전망, 새로운 계약 체결 등의 뉴스가 주를 이루었다. 이러한 내용의 공시는 기업가치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이 당시 공시의 주 목적은 기업에 유리한 뉴스가 생기면 시장에 즉시 알려 주가를 올리는 것이었다. 그런데 이러한 경향이 1980년대 중반부터 바뀌기 시작했다. 부정적 뉴스의 비중이 서서히 늘어나더니, 1990년대에는 오히려 부정적 뉴스의 비중이 더 많아졌다. 1990년대 중반에 실시된 연구에 따르면 공시 뉴스 중 부정적 뉴스의 비중이 약 50%, 중립적 뉴스의 비중이 약 10%, 긍정.. 2017. 12. 18.
골목의 전쟁 p.21 많은 사람들이 이때까지의 실패를 똑같이 저지를 확률을 줄이려면 그와 반대로 행동해야 한다. 표면적으로 드러난 결과만 보고 거기에 현혹되어 열광할 것이 아니라 냉정하게 이면을 살펴봐야 한다. p.24~25군더 뒤크는 이처럼 시장 전체가 레몬시장으로 변화하는 과정이 경기 하강 국면에서 발생한다고 했지만, 만약 특정 시장의 신뢰도가 기본적으로 매우 낮다면 경기 하강 국면이 아니어도 이러한 현상을 일상적으로 일어나게 된다. 한때 범람했던 '착한 가격', '착한 식당'과 같은 표현들이 바로 그 예다. '착한'이란 수식어가 품질이 아니라 가격과 양에 기반했으며, 그 '착한'의 기준에는 오직 소비자의 입장만 있었다. 실상은 '더 싸게, 더 많이'라는 방식으로 생산자르 압박하는 것인데, '착한'이라는 표현을 .. 2017. 12.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