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리137 싱크 어게인 p.12 대원들은 도지의 시도가 생존 전략이었음을 미처 알지 못했다. 그의 생존 전략은 자기 앞에 있는 풀을 태워버림으로써 무섭게 올라오는 화마의 먹잇감을 미리 없애버려 불길의 강도를 조금이나마 누그러뜨려 안전공간을 만드는 것이었다. 도지는 물통의 물로 손수건을 적셔서 입을 막은 다음에 재만 남은 그 공간에 납작 엎드려 15분을 버텼다. 성난 불길이 그를 지나쳐서 산 정사응로 타고 올라갈 때 그는 지면 가까이에 있는 산소에 의지해서 가까스로 살아남을 수 있었다. 비극이었다. 대원 열두 명이 화마를 피하지 못하고 사망했다. 한 대원의 유품으로 발견된 회중시계의 두 바늘은 녹아내린 채 멈춰 있었는데, 바늘이 가리킨 시각은 오후 5시 56분이었다. 그렇다면 나머지 대원 세 사람은 어떻게 살아남았을까? 우선 강.. 2022. 4. 30. 자기통찰 어떻게 원하는 내가 될 것인가 p.7진실을 알리려는 사람은 누구보다 위험해진다.때로는 침묵하지 않으면 침묵을 당한다.하지만 진실을 말할 수 없다 해도 진실을 알고 있어야 한다.남들에게는 진실을 말하지 못하더라도 결코 자신에게 거짓을 말해서는 안 된다. 프랜시스 하딩 p.14자기인식의 정확한 정의는 언뜻 보기보다 복잡하지만, 자신을 명확하게 보는 능력이 그 핵심이다. 즉 자신이 어떤 사람이고, 다른 사람들은 자신을 어떻게 생각하는지, 자신이 주변 세상과 어떻게 어울리는지 아는 것이다. p.24영웅적인 장군이자 훌륭한 정치인, 그리고 미국의 국부로 추앙받는 조지 워싱턴의 명성을 고려하면 22세의 신임 장교 시절 그의 행동은 매우 충격적이다. 하지만 바로 그 점이 중요하다. 현명하고 절제력 있고 자신을 잘 아는 정치인인 워싱턴도 처음에는 .. 2022. 4. 8. 언락 p.9 아이는 어른들에게 "넌 수학 머리가 없어", "넌 문학적인 감성이 부족해", "넌 예술적인 감각이 떨어져" 같은 말을 들으며 자란다. 성인이 된 후에도 대학교에서 수강 신청을 하거나 취업 준비를 할 때 '너는 이 분야와 잘 맞지 않는다'라는 평가를 받는다. 외부에서 부정적인 평가를 받기도 하지만, 문화적으로 형성된 어떤 발상, 즉 누구는 무언가를 잘 할 수 있고 누구는 잘할 수 없다는 선입견을 토대로 스스로 부정적인 판단을 내리기도 한다. p.14 '스티브는 어떻게 르네보다 훨씬 더 많은 숫자 배열을 암기할 수 있었을까?' 바로 이 연구에서 에릭슨은 자기가 '의식적인 연습deliberate practice'이라고 지칭한 개념에 관해 보다 많은 것을 알아냈다. 에릭슨은 스티브가 달리기를 좋아하는 덕.. 2022. 3. 21. 습관의 알고리즘 p.34 습관은 우선 두 가지 면에서 의도적인 목표 지향적 행동과 차이가 있다. 첫째, 적절한 자극이 등장할 때마다 자동적으로 촉발된다는 점이다. 둘째, 한번 촉발되고 나면 특정한 목표와 관계없이 행동으로 이어진다는 점이다. 당신이 없애고자 하는 나쁜 습관이 있거나 혹은 만들고 싶은 좋은 습관이 있다면 바로 이러한 습관 형성 원리와 작동 방식에 대해 먼저 이해해야 한다. 2022. 3. 13. 고독의 위로 p.5 바쁘게 돌아가는 세상에서 우리 모두 좋은 본성과 너무도 오랫동안 떨어져 시들어가고, 일에 지치고, 쾌락에 진력이 났을 때, 고독은 얼마나 반갑고 고마운가 윌리엄 워즈워스 p.10 대화는 서로를 이해하게 하지만, 천재를 만드는 것은 고독이다. 온전한 작품은 한 사람의 예술가가 혼자 하는 작업으로 탄생한다 에드워드 기번 p.17 오늘날 우리는 인간관계에 지나치게 큰 의미를 두고 있다. 사실 인간관계와 행복의 연결 고리는 매우 허약하다. 제대로 된 인간관계를 맺는다면 삶이 더할 나위 없이 행복할 것이고, 행복하지 못하다면 그 인간관계는 분명 뭔가 잘못된 거라는 우리의 생각은 지나친 것이 아닐까? 물론 사랑과 우정은 삶을 가치 있게 만드는 중요한 부분이다. 하지만 행복의 유일한 요소는 아니다. 뿐만 아니.. 2022. 1. 29. 나도 아직 나를 모른다 https://coupa.ng/ca7TIH 나도 아직 나를 모른다:뇌과학과 임상심리학이 무너진 마음에게 건네는 따뜻한 말 COUPANG www.coupang.com p.24 저는 강의시간에 높은 자존감이란, '착한 지도교수'나 '부모의 손이 필요없는 아이'처럼 세상에 존재하지 않는 신화 속 동물인 유니콘 같은 것이라고 말합니다. 허상입니다. p.27 당부하고 싶은 말이 있어 잔소리를 덧붙이고자 합니다. 좋은 평가나 칭찬을 받았을 때, 반사적으로 "아니에요"라고 답하는 습관을 버려야 한다는 것입니다. 칭찬을 듣고 기분이 좋아졌다면 이를 편안하게 받아들였으면 합니다. p.28 자존감의 문제와 별개로, 어떤 상황에서도 자꾸만 겸손을 떠는 사람들 중에는 자기애가 굉장한 사람들이 꽤 있습니다. 저의 박사과정 지도.. 2021. 12. 8. 이전 1 ··· 4 5 6 7 8 9 10 ··· 2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