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영/마케팅18

골목의 전쟁 p.21 많은 사람들이 이때까지의 실패를 똑같이 저지를 확률을 줄이려면 그와 반대로 행동해야 한다. 표면적으로 드러난 결과만 보고 거기에 현혹되어 열광할 것이 아니라 냉정하게 이면을 살펴봐야 한다. p.24~25군더 뒤크는 이처럼 시장 전체가 레몬시장으로 변화하는 과정이 경기 하강 국면에서 발생한다고 했지만, 만약 특정 시장의 신뢰도가 기본적으로 매우 낮다면 경기 하강 국면이 아니어도 이러한 현상을 일상적으로 일어나게 된다. 한때 범람했던 '착한 가격', '착한 식당'과 같은 표현들이 바로 그 예다. '착한'이란 수식어가 품질이 아니라 가격과 양에 기반했으며, 그 '착한'의 기준에는 오직 소비자의 입장만 있었다. 실상은 '더 싸게, 더 많이'라는 방식으로 생산자르 압박하는 것인데, '착한'이라는 표현을 .. 2017. 12. 9.
카카오톡은 어떻게 무료인 카톡으로 돈을 버는가 https://brunch.co.kr/@finance1026/16 이런 카카오톡이 어떻게 돈을 버는지 아시나요? 아시다시피 카카오톡을 포함한 모든 메신저 앱들이 무료로 제공되기 때문에 유저들에게 과금을 하기란 쉬운 방법이 아닙니다. 그래서 처음에 카카오톡이 택한 주된 매출원은 게임회사들에게 돈을 걷는 방법이엇습니다. 모두의 마블, 애니팡 등의 게임은 국민 모바일 게임으로 불릴 정도로 높은 인기를 얻었는데 공통점은 모두 카카오톡에 입점해 있다는 것입니다. 게임 유저들은 카카오톡 친구들의 랭킹을 확인할 수 있고 카카오톡을 통해 게임에 쉽게 접근함으로써 게임회사들은 톡톡히 마케팅 효과를 누릴 수 있었죠.대신에 게임에서 나오는 총매출의 30%를 구글이나 앱스토어에 떼어주고, 21%를 카카오톡에 떼어주고 나면 4.. 2017. 8. 5.
어떻게 돌파할 것인가(4) p.194~196 본사 담당자는 중심을 잡고 냉정히 대응해야 한다. 신제품 투입이 꼭 필요한 시점인지, 광고나 판매 촉진을 해야 할 시점인지, 그 효과는 무엇인지, 비용 대비 효과는 충분한지 등을 냉정히 판단한 후 대응해야 한다. 경우에 따라서는 다음과 같은 3가지 다른 전략을 검토할 필요가 있다. 하나는 신규 고객 확보보다는 기존 고객을 유지하는 전략이다. 신제품 투입이나 광고, 판매 촉진 등을 통해 신규 고객을 확보하기 보다는 기존 고객을 유지하는 전략이 더 중요할 수 있다. 특히 저성장기에 신규 고객을 확보하는 비용에는 유지하는 비용의 5배 가까이가 소요된다. 그래서 기존 고객을 유지하면서 기존 고객들의 구매 빈도와 구매 금액을 늘리거나 기존 고객의 소개나 입소문을 통해 새로운 고객을 개척하는 편이.. 2015. 11. 20.
어떻게 돌파할 것인가(3) p.167~168 해외진출에는 여러 가지 전략이 있겠지만 그중 가장 중요한 전략이 현지화(localization)와 표준화(standardization) 전략이다. 현지화란 제품이나 광고 등을 해외시장에 맞추어 수정하는 전략을 말하고, 표준화란 해외시장에 맞추기보다는 역으로 글로벌 표준으로 해외시장을 공략하는 전략이다. 애플은 아이폰 하나를 가지고 전 세계 시장을 공략하고 광고도 기본 포멧을 표준화한 뒤 언어만 각국의 언어를 설명하는 전략을 취했는데 이것이 표준화 전략의 전형적인 예다. 이와는 반대로 삼성전자는 갤럭시의 형태를 시장마다 달리하고 광고 또한 시장마다 다른 광고를 내보내는데 이는 현지화 전략의 전형적인 예다. 표준화 전략은 기본적으로 '효율'을 강조한다. 제품과 광고를 표준화함으로써 규모의 .. 2015. 11. 20.
어떻게 돌파할 것인가(2) p.106 장인정신과 장인 정신으로 만든 제품도 환경이 바뀌거나 너무 지나치면 문제가 된다. 그중 하나가 과잉 품질이다. 일본 기업들은 제품의 품질을 지나칠 정도로 계속해서 개선했 다. 소위 제품이 아니라 작품이 되어버린 것이다. 물론 작품 수준의 제품을 원하는 고객이 있지만 저성장기가 되면 이러한 고객은 소수에 불과하다. 대부분의 고객은 과잉 품질의 제품보다는 오히려 값싸고 실용적인 제품을 선호하게 된다. p.106~107 과잉품질과 더불어 또 하나의 문제가 되는 것이 과잉 기능이다. 고객들의 요구를 받아들여 이런저런 기능을 모두 넣다 보니 제품의 기능 또한 과잉이 되었다. 이것은 일본 기업들이 고객 제일주의를 표방하기 때문에 생긴 현상이기도 하다. 기업들이 고객 제일주의를 표방하다 보니 제품 개발자들.. 2015. 11. 20.
어떻게 돌파할 것인가(1) p.17 세계 경제의 큰 흐름 1929~1945년 세계 대공황과 제2차 세계대전 1945~1973년 대 도약기 1973~1979년 석유파동 1980~2007년 대 안정기 2008년 이후 장기 침체기 p.33 신흥국 시장의 경우 선진국 시장에 비해 수출의 부가가치가 낮기 떄문에 수출로 유발되는 경제적 실익 자체가 그다지 높지 않다. 실제로 한국의 경우 1990년대 중반 이후 교역 조건이 계속 악화되고 있다. p.35~36 한국 기업의 영업이익률이 계속 하락하는 이유는 한국 경제가 고비용 구조로 되고 있기 때문이다. 인건비는 계속 올라가는 데 비해 노동생산성은 매우 낮다. 한국 근로자의 시간당 노동생산성은 2012년 기준으로 30.4달러로 OECD 회원국 가운데 28위에 불과하다. 이는 근로자 한 사람이 1.. 2015. 11. 13.